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탈북민 자문위원 간담회 진행. 정착·인권·공동체 미래 모색 > 최근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근뉴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탈북민 자문위원 간담회 진행. 정착·인권·공동체 미래 모색

본문

0721fd85c6fb2756b43edbfde0625a7b_1744819255_2117.jpg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사무처장 태영호) 4 14일과 17일 양일간, 전국 탈북민 자문위원들과 함께하는 북한이탈주민 자문위원 의견수렴 간담회를 개최한다. 14 1차 간담회에는 전국에서 선발된 탈북자문위원 31명이 참석하여, 다양한 의견과 정책적 제언을 나누는 진지한 시간으로 이어졌다.

행사는 국민의례로 시작되어, 태영호 사무처장이 민주평통의 역할과 올해 추진되는 탈북민 통일공감사업 계획을 직접 발표하며 막을 열었다. 그는지역사회 내 탈북민에 대한 시선이 이중적일 수 있다, “이제는 30년 정착 역사를 바탕으로 자문위원들이 지역 탈북민사회의 리더이자 통합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자꾸 무엇을 받으려 하기보다는 헌신과 나눔의 정신이 필요하다며 통일시민의식 함양을 당부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는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 중인 자문위원들이 정착과 협력, 그리고 실질적 어려움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심리치료, 자녀 교육, 의료 접근성 등 복지 중심의 문제들이 다수 제기된 가운데, 서울 구로구 협의회 자문위원인 장세율 겨레얼통일연대 대표는 이 날 간담회에서 유일하게인권의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하며 주목을 받았다.

장 대표는 발언에 앞서모든 위원님들. 불러드릴 내용이 있으니 필기 부탁합니다고 당부하고, 자신의 휴대폰 번호를 낭독하고 인권단체 대표라고 소개했다. 그는 통일을 위해 모인 여기 자문위원들부터 탈북민사회가 과연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자성할 시점이라며, “모든 탈북민이 인권유린의 피해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인권문제를 외면하거나, 심지어 해악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탈북민 사회 현실을 강하게 지적했다.

그는, “2010년 단체를 처음 결성할 당시만 해도 대부분이 인권단체였지만, 지금은 정착 및 봉사단체가 대세이고, 인권단체는 급감하고 있다며 이는 바람직한 탈북민통일역량강화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장대표는 이는 탈북민들의 무관심과 함께 정부의 정책 방향 때문이라며, 현재 정착지원재단의 예산은 350억 원을 넘지만, 북한인권법은 제정된 지 10년이 다 되어가도록 실행기관도 없고, 예산도 29억 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정부를 향해 탈북민 자문위원들이 더 강력한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 “우리는 여전히 고향에 부모와 형제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장 대표의 발언 이후 충남 보령시 자문위원 임규리 씨는탈북민 사회의 가장 큰 결함은 자기 공동체를 지키고 성장시키려는 의지의 결여라고 진단하며, “한 사람이 열 명을 돕기는 어렵지만, 열 명이 한 사람을 도울 수는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민주평통 내 230명의 탈북민 자문위원들이 매달 소액을 모아 인권활동과 어려운 탈북민 지원에 공동 대응하자고 제안했고, 이에 현장에서는 큰 박수와 공감이 이어졌다.

간담회 종료 후, 많은 참석자들이 장 대표에게 명함을 건넸으며, 이후에도 직접 전화를 걸어 격려와 협력의 의사를 밝히는 사례가 이어졌다고 한다.

이번 간담회는 민주평통 자문위원으로서 탈북민의 실질적 역량과 책무를 성찰하고, 통일에 있어인권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민주평통인천부평협의회 자문위원 김영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67 건 - 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