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무인기 발진기지 파악 '北, 중대제안 先위반' > 최근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근뉴스

당국, 무인기 발진기지 파악 '北, 중대제안 先위반'

본문

 
 
근래 파주, 백령도, 삼척 등지에서 북한 무인기 잔해가 잇달아 발견된 가운데 이 무인기가 출격한 기지 위치가 최종 파악될 전망이다.

무인기 중앙합동조사에 참가한 한 관계자는 8일 언론에 "3대 모두 군사분계선(MDL)에서 15~20km 떨어진 북한 지역에서 날아온 것으로 종합 평가를 내렸다"고 밝혔다.

관계자에 따르면 조사단은 무인기 엔진, 연료통, 중량 등을 고려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그는 "3대 무인기에 달린 인공위성위치정보(GPS) 코드에 포함된 복귀 좌표 해독이 거의 끝나가고 있다"며 "해독이 끝나면 정확한 이륙 지역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먼저 추정될 수 있는 출격장소는 태탄·누천리 비행장 등이다.

황해남도 봉천군 인근에 위치한 누천리 비행장 및 황해남도 남서부의 태탄 비행장 모두 MDL에 인접해있다. 그러나 이 곳은 15~20km 거리 범주에 다소 못미치는 곳이다. 이 외에도 MDL 인근에는 무수한 비행장이 존재하지만 모두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100.png
                                                                   ​<태탄비행장 위성사진>
 
 
개성에서 MDL 까지의 거리가 대략 10km 정도인 점을 감안할 때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의 출격 기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비밀기지일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분석결과를 토대로 8일 위성사진을 통해 북한 무인기 출격 기지일 곳으로 추정되는 장소를 찾아봤다. 광범위한 지역을 탐색해야 하는 관계로 시일이 다소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흥미로운 장소를 한 곳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101.png 
      <개성시 해선리 북쪽에서 발견한 군사 기지. 야산에 그려진 원형 표적을 고려할 때 포병 기지인 것으로 파악된다>​

 
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가 ​이미 전력화됐을 것으로 파악 중이다.

국방부는 최근 "군사적 목적이 있는 정찰 활동으로 이번 비행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초보적 수준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보다 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무인기 중앙합동조사 참여 관계자는 언론에 "정찰용으로만 이용될 시 평택~원주 축선까지 비행이 가능할 것"이라며 "공격용으로 개조되면 울진 원자력발전소까지 타격권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은 이러한 무인기를 이미 1천여대 이상 운용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8일 언론에 "1천대 이상 보유하고 있고 특히 작년 3월 공개된 자폭형 무인기를 100여대 정도 실전배치한 것으로 파악 중이다"고 밝혔다.

한편 ​6일 일본 산케이 신문 보도에 따르면 삼척 무인기는 이미 작년 10월 추락했다. 따라서 올해 초 북한의 소위 '중대제안'은 북한이 애초부터 먼저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의 '도발 → 화해요청' 패턴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대표적으로 91년 남북기본합의서를 맺으면서 대남 침투용 땅굴을 파는가 하면 핵개발을 지속했다. 2000년대 중반에는 소위 '우리민족끼리' 이념을 앞세워 노무현 정권의 막대한 대북지원을 이끌어내면서 1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겨레얼통일연대 정보국]
 
 
□ 관련 기사 :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67 건 - 10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