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포격 당일 백령도에 항공기 추락.. 北 무인기 비밀 드러나나 > 최근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근뉴스

NLL 포격 당일 백령도에 항공기 추락.. 北 무인기 비밀 드러나나

본문

 
 
북한이 서해북방한계선(NLL) 이남 우리 수역에 100여 발의 해안포·방사포 사격 도발을 감행한 당일 백령도에 북한 보유기종일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UAV) 1대가 추락했다.

UAV를 수거한 군 당국은 정밀감식에 돌입했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1일 언론에 "어제 오후 4시경 백령도에 2~3m 길이의 무인항공기 1대가 추락했다"며 "군(軍)이 정밀 감식 중에 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엔진은 일본산, 이외 부품은 중국산이며 소형 카메라도 장착된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이 UAV가 남파 간첩의 대북(對北) 접촉수단​ 또는 북한군이 운용 중인 무인기일 가능성을 한꺼번에 고려하고 있다.

북한의 UAV 보유는 이미 여러 언론보도를 통해 잘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27일에는 대남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가 김정은이 '무인화, 지능화된' 무기의 대량생산 및 기술향상을 군수공업 부문에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작년 3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UAV를 공개하기도 했다.  

이번 UAV가 지난달 24일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 야산에서 발견된 기체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당국은 대공 용의점도 수사하고 있다. 97년 망명한 ​故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에 따르면 90년대 중후반 당시 북한의 남파간첩 수는 5만에 육박했다.

다만 북한이 보유한 또 다른 기종의 무인기일 가능성에 좀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북한은 지난 2010년 8월 9일 NLL에 해안포 110여 발을​ 사격한 직후 UAV를 띄운 이력이 있다.

북한 무인기의 ​대략적인 제원은 이미 우리 당국이 파악하고 있다. 중국 무인항공기(D-4) 도입 후 자체 개조한 '방현-Ⅰ·Ⅱ'는 길이 3.23m, 비행고도 3km, 최대시속 162km, 작전반경 4km, 휘발유 연료 사용, 낙하산 이용 착륙 방식인 것으로 확인된다. 20~25kg의 폭약을 달아 공격기의 역할도 할 수 있다.  

 
[겨레얼통일연대 정보국]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67 건 - 1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