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가족을 기억해주세요!”,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광장에서 인권사진전 진행

본문
- 제22회 북한자유주간, ‘사라진 그들을 기억하며!’ 인권사진전 성황리 개최
- 사진 들고 선 사람들 인권활동가가 아니라,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부모,형제들이다!
- 북한 김정은 정권의 민족 말살 비판
- 독일 시민 연대, 국제사회 응답 촉구
지난 10일 오후, 독일 베를린의 심장부 브란덴부르크 광장은 비통한 외침과 뜨거운 연대로 가득 찼다.
제22회 북한자유주간 국제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사라진 그들을 기억하며’ 인권사진전이 베를린시민들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이 사진전은 북한에서 강제실종된 70명의 정치범수감자들의 얼굴을 공개하며, 그 가족들이 직접 거리로 나선 역사적인 자리였다.
피해자들은 떨리는 손으로 사랑하는 가족의 사진을 들고 베를린 시민들 앞에 섰다.
사진을 들고 선 사람들은 인권활동가가 아니었다. 미성년 자녀를 잃은 어머니 이병림, 정보경 여성, 가족 형제를 잃은 주경배, 배광민, 우영복, 이윤서… 모두는 피눈물 나는 상실의 기억을 가슴에 품은 채 고통속에 살아가는 탈북민들이다.
이들은 “김정은은 민족 대학살을 멈춰라! (Stop Kim Jong-un’s genocide of his people!)” 라고 단호한 목소리로 외쳤다.
김정은 정권에 의해 자행된 강제실종과 정치범수용소 수용은 단순한 통제 수단이 아니라, 한 민족을 말살하는 제2의 홀로코스트라는 점에서 참가자들의 증언은 전율 그 자체였다.
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지나가던 독일 시민 한 명은 사진 속 인물의 사연을 듣고 눈물을 글썽이며 피해자 가족과 함께 사진을 들고 서 있었다.
몇몇 시민은 “이 사진들을 내 SNS에 공유해 전 세계에 알리겠다”며 즉석에서 사진을 찍고, 대표단의 손을 맞잡았다.
특히 “이건 단지 북한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전체의 양심에 관한 일입니다” 시민들의 입에서 터져 나온 이 말은 현장을 더욱 숙연하게 만들었다.
행사의 마지막, 피해자들은 “우리의 가족을 기억해주세요!” (Please remember our families!)라고 한 목소리로 외쳤다.
이 한마디는 단순한 호소가 아니었다.
기억하지 않으면, 제2의 홀로코스트는 반복된다. 기억하고 행동할 때만이, 북한의 정치범수용소는 해체될 수 있다는 절박한 경고이자 다짐이었다.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광장에서 북한인권사진전 모습(4)
이날 브란덴부르크 광장은 단순한 전시장이 아니었다.
독일 시민과 북한 인권 피해자들이 함께 써내려간 진실과 연대의 서사시, 그 자체였다.
그리고 이 날의 외침은, 북한 정치범수용소 철폐를 향한 국제사회의 응답을 요구하는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겨레얼통일연대 사무국-
댓글목록0